2011. 7. 12. 22:13

국민대 ‘지성과 글’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오류 보고서 1


‘지성과 글’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오류 보고서 1

 http://cafe.daum.net/hwangbbi/5xlG/395

 

차례

 

Ⅰ. 머리말

 

Ⅱ. 꼭 고쳐야 할 곳(낱말, 문장 오류)

    1. 이론편

    2. 연습편

 

Ⅲ. 다시 생각해야 할 곳

    1. 전체 서술 방식

    2. 이론편 3장 정확한 문장 작성

    3. 이론편 편집체제

        ① 7장 상황 속의 글쓰기

        ② 9장 텍스트 읽기와 글쓰기

        ③ 10장 현실 인식과 비판적 글쓰기

4. 예문

 

5. 부록

 

Ⅳ. 맺는말

 

 

 

Ⅰ. 머리말

 

  국민대학교 기초공통과목 ‘지성과 글’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 무엇이 근본 문제인가?

 

  ‘지성과 글’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는 2006년 봄에 국어국문학과 교수인 김주필, 정선태 씨가 편집․발간한 것이다. 국민대학교 신입생들은 지난 오년 간(2006-2010) 이 책을 일괄(강제) 구매하여 강의 교재로 써왔고, 2011년부터 일괄구매는 하지 않지만 여전히 교재로 쓰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이론 부분에서,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지성과 글’ 교재로 쓰인 책「지성과 글」을 거의 그대로 베껴 내용을 채우고(약 70%) 거기에 연습문제와 예문을 붙인 뒤 제목만 새로 달아 놓은 것이다. 이는 불성실한 집필 자세이며, 특히 예문을 뺀 부분에서만도 문장 오류가 무려 80여 곳에 이른다는 사실이 놀랍다. 사람이 만든 책이란 완벽할 수 없으니, 한두 군데 틀린 것은 어쩔 수 없고 십여 군데 어긋난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80여 곳이라면 문제 차원이 다르다. 이 문장오류들은 곳곳에서 뜻을 헤치고 애매하게 하여 이 책이 글쓰기 교재로서 평균 수준을 만족한다고 인정할 수 없을 정도로 폐해가 깊다.

  우선, 이 책에 있는 오류를 상징으로 보여주는 예를 하나 들어보겠다. 다음은 연습편 75쪽 내용이다. 책을 그대로 옮겼다.

 

 

연습문제 6. 다음은 다산 정약용의 칠언시「애절양」이다. 다산은 이 시를 통해 유배생활을 하면서 자신이 보았던 민중들의 고통스러운 삶을 표현하고 있다. 이 시를 읽고 배경지식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조선후기 민중들의 삶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한 산문을 800자 이내로 써 보라.

 

애절양(哀絶陽)

노전마을 젊은 아낙 그칠 줄 모르는 통곡소리

현문을 향해 슬피 울며 하늘에 호소하네

쌈터에 간 지아비가 못 돌아오는 수는 있어도

남자가 그 걸 자른 건 들어본 일이 없다네

시아비 상복 막 벗고, 아기는 탯물도 마르지 않았는데

삼대가 다 군보에 실리다니

가서 아무리 호소해도 문지기는 호랑이요

이정은 으르렁대며 마구간 소 몰아가고

조정에선 모두 태평의 즐거움을 하례하는데

누구를 보내 위태로운 말로 포의로 내쫓는가

칼을 갈아 방에 들자 자리에는 피가 가득

자식 낳아 군액 당한 것 한스러워 그랬다네

무슨 죄가 있어서 잠실음형 당했던가

민땅 자식들 거세한 것 그도 역시 슬픈 일인데

자식 낳고 사는 이치 하늘이 준 바이고

하늘 닮아 아들 되고 땅 닮아 딸이 되지

불깐 말 불깐 돼지 그도 서럽다 할 것인데

대 이어갈 생민들이야 말을 더해 뭣 하리요

부호들은 일 년 내내 풍류나 즐기면서

낟알 한 톨 비단 한 치 바치는 일 없는데

똑같은 백성 두고 왜 그리도 차별일까

객창에서 거듭거듭 시구 편을 외워보네

 

  그런데, 밑줄 부분은 뜻 자체를 도저히 헤아릴 수 없고 앞뒤 문장과 이어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원문 한시를 보면 밑줄 문장이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렇다. 어처구니없는 실수요 오류다. ‘조정에선 모두 태평의 즐거움을 하례하는데/ 누구를 보내 위태로운 말로 포의로 내쫓는가’ 라는 문장은 실은 조선 광해군 때 시인 권필(1569-1612)이 지은 시 ‘宮柳詩’에 나오는 것이다. ‘宮柳詩’ 전문이 다음과 같다.

 

宮柳靑靑鶯亂飛 궁 버들 청청한데 꾀꼬리 요란하게 나는구나

滿城冠蓋媚春輝 성에 가득 찬 것과 일산이 봄볕에 상긋거리네.

朝家共賀昇平樂 조정에서는 함께 태평의 즐거움을 하례하는데

誰遣危言出布衣 누가 시켜 위태한 말이 포의의 입에서 나오게 했는가.

 

  엉뚱한 구절로써 내용을 채운 꼴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만약 집필자가 원시를 앞에 놓고 문제를 만들었다면 이런 오류를 저지르지 않았을 것이다. 집필자는 어디에선가 문제를 통째그대로 베껴온 것이며, 베껴오는 과정에서 그나마 진위여부를 충분히 검토하지도 않았다 여긴다. 그렇게 볼 수밖에 없다. 누가 어떻게 이 문제를 만들었는지 퍽 궁금하다.

 

  학생은 강의계획서에 따라 교과를 예습하고 강의를 들어 내용을 바로 새기며 시험을 치러 또렷이 익힌다. 이는 모든 대학 강의에 내재하는 기본원리이자 보편 과정이며, 이때 수업을 이끄는 핵심 수단이 바로 교재다. 따라서 교재란 내용을 정제해야 함은 물론 한 음절, 한 낱말, 한 문장조차 엄선하여 실어야 정상이고 정도(正道)다. ‘우리시대의 글쓰기’는 우리말과 문장으로써 글쓰기를 익히자는 교재이므로 이 원칙에 더욱 충실해야 한다. 한 곳이라도 틀린 부분을 발견했다면 이를 곧 고쳐 놓아야 마땅하다. 그것이 집필자가 지켜야 할 최소 도리며 교육자가 늘 지녀야 할 기본자세다. 이 점을 생각할 때, 국민대학교 글쓰기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가 안고 있는 오류와 그 오류를 오 년 넘게 방치한 학사행정은 유감스럽다.

 

  정작 문제인 부분은 국어국문학과 교수들이 보인 태도다. 그동안 나는 ‘지성과 글’ 과목을 오랫동안 담당했던 교수 한 사람으로서 ‘우리시대의 글쓰기 다시 보기’(2007년 3월 26일)와 ‘지성과 글 집필교수들과 강의담당교수들에게 보내는 글 -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다시 보기 2(2008년 4월 21일)’, ‘국민대학교 글쓰기 과목 지성과 글 교재「우리 시대의 글쓰기」오류 보고서’(2008년 가을 학기)라는 문서로써 잘못된 부분을 구체로 지적하고 이의를 내놓으며 오류교정을 세 차례 요구했다. 이어 2010년 가을 학기에는 국어국문학과 울타리를 벗어나 교무처장과 부총장, 총장에게 사실을 알리고 교정을 꾀했다.

그러나 2006년 당시 국어국문학과 학과장으로서 책임 집필자였던 김주필 씨는 ‘교재가 개념만 있으면 되는 것 아니냐.’, ‘출판사와 5년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고칠 수 없다.’,고 말했으며 학과장을 그만 둔 이후로는 ‘나는 이제 학과장이 아니므로 뭐라 말할 수 없다.’ 라는 이유를 들어 교정을 거부했고, 현 학과장인 정선태 씨는 ‘2008년 연말에 고치겠다.’고 호언했으나 지금껏 무소식이다. 현 국어국문학과 교수인 조흥욱 씨는 ‘이 책으로써 강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 라는 말로써 반성, 수정 요구를 묵살하여 더욱 놀랍다. 총장은 면담조차 해주지 않았으며 교재는 결국 수정되지 않고 지금도 그대로 쓰이고 있다. 다시 말하지만 교재가 한 음절, 한 문장이라도 틀렸다면 이를 경계하여 속히 고쳐놓는 것이 스승이요 학자 된 자가 지녀야 할 도리다. ‘개념만 있으면 된다.’라든가 ‘강의는 불가능하다.’는 논리는 교재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스스로 확인하는 말일 텐데, 스승으로서 학자로서 기본 된 의무와 책임을 애써 피한 도덕불감증이 아닌지 나는 생각한다.

 

  도대체 국민대학교 학생들이 무엇을 잘못했으며 무엇이 부족하여 이러한 책을 교재로 떠안아야 하는지 나는 알 수 없다. 국민대학교 학생들이 누려야 할 최소 권리와 혜택을 생각한다. 국민대학교 학생은 3개월 만에 그것도 지난 교재를 적당히 베낀 교재가 아닌, 전문성과 애정을 지닌 교수들이 다년간 심혈을 기울여 정성껏 만든 교재로써 강의를 받을 권리가 엄연하다. 이제 오류를 고치느냐 마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여긴다. 대한민국 하늘 아래 영어영문학과도 아니요 러시아어학과도 아닌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집필했다는 글쓰기 교재가 이토록 허술한 것과 잘못을 알렸음에도 이를 오 년 동안이나 학생들에게 강요했고 육 년째 방치하는 것이 올곧은 교육행동인지 먼저 국어국문학과 교수들에게 따지고, 다음 국민대학교 전 성원에게 묻고자 한다.